최신연구

[최승문 교수] 사용자 참여 디자인을 활용한 운전 시트용 진동촉각 경고

2024-05-14
  • 324

[연구의 필요성]
기존의 차량용 진동촉각 경고는 전문가가 패턴을 설계하고 사용자가 이를 평가하는 하향식 접근 방식을 따르고 있어, 일반 사용자의 기대와 직관을 충실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로부터 구체적인 진동 패턴을 얻기 위해 진동 패턴을 쉽게 저작하고 바로 경험해볼 수 있는 적절한 도구가 필요하다.

[포스텍이 가진 고유의 기술]
본 연구는 진동 패턴의 빠른 프로토타이핑과 상세한 편집이 가능한 진동 저작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사용자 참여 디자인을 통해 여러 경고 시나리오에 대한 운전 시트용 진동촉각 경고 패턴들을 도출했다. 도출된 진동 패턴은 햅틱스 전문가가 설계한 진동촉각 경고들과 함께 다양한 주관적 경험 측면에서 비교 평가되었다.

[연구의 의미]
사용자 저작 패턴의 분석을 통해 경고 시나리오 별 사용자가 선호하는 진동의 위치적, 시간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용자 저작 패턴과 전문가 설계 패턴의 비교를 통해 두 패턴 간 유사성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이를 통한 진동경고 설계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적절한 진동 저작 도구를 사용한 참여 디자인이 일반 사용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응용 분야에 대한 새로운 진동 신호를 설계할 때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결과의 진행 상태 및 향후 계획]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참여 디자인을 활용한 운전용 진동촉각 경고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사용자 참여 디자인과 전문가 설계에서 모두 낮은 평가를 받은 경고 시나리오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진동 저작 도구를 활용한 전문가 참여 디자인과의 비교 평가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성과와 관련된 실적]
국제 학술대회 논문: Lee, D., Park, J., Kang, J., Yun, T., Park, D. C., & Choi, S. (2024). Participatory Design for In-Vehicle Vibrotactile Warnings on Driver’s Seat. EuroHaptics.

[성과와 관련된 이미지]

그림 1. (a): 세 개의 진동촉각 구동기가 설치된 운전 시트. (b): 개발한 진동 저작 도구의 GUI.

그림 2. 경고 시나리오 별 진동 패턴 (PD: 사용자 저작 패턴, Location: 사건 위치를 강조하는 햅틱스 전문가 패턴, Sound: 상용 경고음을 모방하는 햅틱스 전문가 패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