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연구

[최승문 교수] 다감각 콘텐츠를 위한 전신 시청각-햅틱 동시성 지각

2024-05-14
  • 340

[연구의 필요성]
햅틱 효과는 미디어 콘텐츠 경험 향상에 효과적인 수단이다. 사용자 대다수가 기록된 로그가 아닌 온라인 스트리밍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를 경험하기 때문에 햅틱 피드백의 원활한 실시간 전달을 보장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중요하다. 햅틱 효과는 콘텐츠 시청각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므로 시청각 자극보다 뒤늦게 나오게 된다. 실시간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알아챌 수 없는 시간 지연 조사가 필요하다.

[포스텍이 가진 고유의 기술]
본 연구는 다양한 신체 부위에 대한,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시간적 지각 연구이다. 이전 연구와 달리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적합하게 시각-햅틱, 청각-햅틱 간이 아닌 시청각-햅틱 간의 시간 지연 지각을 조사했으며, LED, 사인파 소리 등 기본 자극이 아닌 자극 복잡도가 높은 미디어 콘텐츠 클립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실시간 햅틱 생성 연구에 바로 사용 가능하며, 다른 특징의 미디어 콘텐츠 사용으로 적용이 어려울 경우에도 신체 부위에 대한 경향성은 참조 가능하다.

[연구의 의미]
본 연구는 전신 햅틱의 중요성에도 불구 다양한 신체 부위에 대한 첫 시간적 지각 연구이다. 실험 결과 몸통-손-발 순으로 머리에서 멀어질수록 시간 지연 역치 값이 유의하게 작아지는 패턴을 관찰했다. 반면 시간 지연 전체 범위는 신체 부위간 유사했으며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전 연구 대비 복잡도가 높은 자극 사용은 낮은 민감도의 시간 지연 지각을 야기했으며, 역치 값 증가로 이어졌다.

[연구결과의 진행 상태 및 향후 계획]
본 연구는 다감각 콘텐츠를 위한 다양한 요소들 중 전신 햅틱의 사용을 우선으로 조사했다. 본 결과는 다양한 콘텐츠 종류, 참여자 집단 등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또한 햅틱 효과 설계자를 위해 주파수, 파형 포락선, 펄스 수 등 다양한 햅틱 파라미터의 영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성과와 관련된 실적]
국제 학회 논문: Lee, J., Yun, G., & Choi, S. (2024). Audiovisual-Haptic Simultaneity Perception Across the Body for Multisensory Applications.

[성과와 관련된 이미지]

그림 1. 세 신체 부위에 대한 동시성 판단(A)-(C) 및 허용 정도(D)의 회귀 곡선. 음영 처리된 영역은 여러 참여자 응답에 대한 파라미터의 95% CI 내의 곡선을 나타낸다. 동일한 문자로 그룹화된 막대는 Tukey 테스트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