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연구
[최승문 교수] 다감각 콘텐츠에서 목표 사용자 경험을 실현하는 햅틱 모션 효과 자동 조정
- 등록일2025.06.13
- 조회수315
-
교수최승문
[연구의 필요성]
햅틱 모션 효과는 영상 속 시청각 정보와 정렬된 물리적 움직임 효과로, 다감각 콘텐츠의 몰입감을 높이는 핵심 요소이다. 효과 설계자는 영상 속 시각적 움직임을 참고하여 모션 효과 생성을 시작하고, 콘텐츠의 맥락이나 예술적 연출을 반영하기 위해 조정 단계를 거친다. 이 조정 단계는 바람직한 사용자 경험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모션이 여러 축으로 구성되어 설계 공간이 크기 때문에 조정에 따른 결과를 예측하기가 복잡하다. 이에 따라 모션 효과의 제작에는 반복적인 조정이 수반되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조정 자동화 연구가 필요하다.
[포스텍이 가진 고유의 기술]
본 연구는 모션 효과를 통해 특정 지각적·정서적 느낌을 유도하는 자동 조정 방법을 제안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방법은 조정 대상인 모션 효과와 해당 효과를 통해 유도하고자 하는 느낌을 형용사 점수 형태로 입력 받아, 자동 조정 과정을 거쳐 목표 경험을 유도하는 수정된 모션 효과를 출력한다. 특히 설계자가 설정하는 목표 경험 값들은 모션과 영상을 같이 감상하는 상태에서 설정되게 되는데, 모션 조정 시에는 영상 효과를 제거하고 진행함으로써, 관객이 조정된 모션을 영상과 함께 감상하여도 목표 경험이 효과적으로 유도 가능하다.
[연구의 의미]
본 연구는 효과 설계에서 예술적 판단에 해당하는 설계 의도가 최적의 사용자 경험에 필수적인 요소임에도 자동화가 어려운 영역임을 인지하고, 이러한 의도를 보다 쉽게 반영할 수 있는 형태로 모션 생성을 수행하였다. 기존 모션 생성 방식과는 달리, 모션의 파형 변화가 사용자 경험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투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방법 제시 외에도 지각적인 인사이트를 줄 수 있다.
[연구결과의 진행 상태 및 향후 계획]
본 연구는 전체 세 개의 사용자 실험을 통해 모션 조정 기법을 설계, 검증, 보완하였다. 향후에는 다양한 사용자 집단 및 콘텐츠 유형에 대해 본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확장하고, 진동, 소리 등 다른 감각 자극과의 통합 조정 기법 개발로 나아갈 계획이다. 또한,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실무에 적용 가능한 저작 도구 개발도 검토 중이다.
[성과와 관련된 실적]
국제 학회 논문: Lee, J., Jeong, D., Han, S. H., & Choi, S. (2025, April). Automatic Tuning of Haptic Motion Effects to Evoke Specific Feelings in Multisensory Content. In Proceedings of the 2025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1–19). https://doi.org/10.1145/3706598.3713908
[성과와 관련된 이미지]
Figure 1 본 모션 자동 조정 방법의 티저 이미지.
Figure 2 본 모션 자동 조정 방법의 결과. 입력 모션 파형(위)을 같이 입력 받은 다양한 목표 경험(점수 1 또는 점수 2)을 낼 수 있게 조정된 모션 효과 결과(중간, 아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