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서영주 교수, 포스텍·포항시 디지털 보국 전략 논의…지방소멸 공동 대응
서영주 교수, 포스텍·포항시 디지털 보국 전략 논의…지방소멸 공동 대응 서영주 교수(컴퓨터공학과, 전자컴퓨터융합공학부 학장)는 12월 28일(목) 포항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포항시와 함께 포스텍이 지방소멸에 대한 전략을 함께 공유하며 공동으로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서영주 교수는 “미국의 카네기멜론대학과 피츠버그, 스탠포드와 실리콘밸리의 관계처럼 포스텍도 포항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다는 막중한 사명감을 가진다”라며, “디지털과 소프트웨어 산업이 지역의 새로운 블루칩이 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포스텍을 중심으로 지역에 핵심 인재가 유입되고, 첨단산업이 몰려드는 글로벌 도시 포항이 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함께 걸어가겠다”라고 강조했다. 기자간담회에는 권혁원 포항시 일자리경제국장도 참석해 포스텍과 함께 디지털 융합거점 구축, 디지털 기반 신산업 육성, 혁신 인재 양성을 통한 ‘디지털 혁신클러스터’를 만들어 가겠다는 방침도 전했다. 한편, 포항시는 전지보국, 바이오보국에 이은 ‘디지털보국’을 실현하기 위해 지난해 7월 조직개편을 통해 ‘디지털융합산업과’를 신설하고, 신기술 기반 디지털 대전환 사업발굴 및 디지털산업 생태계 확산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 기사 더보기(영남일보, 뉴스핌, 아시아경제 )]
2024.01.02 1710 -
조성준 대학원생(박사과정, 20학번), ‘제15회 전자신문 대학생 ICT 논문 공모대제전’ 우수상 수상
조성준 대학원생(박사과정, 20학번), ‘제15회 전자신문 대학생 ICT 논문 공모대제전’ 우수상 수상 조성준 학생(박사과정, 20학번)은 12월 15일(금) 웹케시그룹 사옥에서 열린 ‘제15회 전자신문 대학생 ICT 논문 공모대제전’ 시상식에서 우수상을 받았다. 올해 열린 ICT논문 공모대제전은 소프트웨어(SW), 하드웨어(HW),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클라우드, 핀테크, 보안, 통신, 반도체 등 ICT 전 분야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심사가 진행됐다. 120편의 수준 높은 논문이 접수된 가운데 최종 9편의 수상작이 선정되어 국제적 수준에 해당하는 양질의 논문들이라는 것이 심사위원들의 공통된 평가였다고 밝혔다. 이번에 조성준 학생이 수상한 논문의 제목은 ‘AERO: Adaptive Erase Operation for Improving Lifetime and Performance of Modern NAND Flash-Based SSDs’로, 현대 SSD의 수명과 성능을 향하기 위해서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새로운 삭제(erase) 방식을 제안했다. 실제 디바이스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평가 결과, 제안된 기법은 최신 기술에 비해 저장장치의 수명과 꼬리지연시간(tail latency)을 각각 43%, 28% 개선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이번 연구는 컴퓨터공학과 조성준 학생(박사 20, 지도교수 박지성)이 주저자, 컴퓨터공학과 조현욱 학생(박사 23, 지도교수 박지성)이 공동저자, 박지성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관련 기사 더보기(클릭)] 사진 출처: 전자신문
2023.12.29 1931 -
2023-2 POSTECHIAN Fellowship 시상
2023-2 POSTECHIAN Fellowship 시상 2023학년도 2학기 ‘POSTECHIAN Fellowship’ 장학생 시상식을 12월 18일(월) 교수회의에서 가졌다. POSTECHIAN Fellowship 장학생으로는 정유철(통합과정, 지도교수 이승용), 김동원(통합과정, 지도교수 곽수하), 이지완(박사과정, 지도교수 최승문) 대학원생이 선정됐다. BK21 대학원혁신사업팀에서 추진하는 ‘POSTECHIAN Fellowship’은 우수한 대학원생들의 안정적인 연구 활동 활성화 및 연구성과의 질적 향상을 위해 장학금을 지급한다. 또한, 장학생은 연구 및 학술 활동 경력, 연구계획의 적절성 및 연계성 등에 따라 BK 운영위원회에서 선정했으며, 이승용 주임교수가 장학증서와 장학금 600만원을 각각 수여했다. [행사 사진 더보기(클릭)]
2023.12.19 2306 -
2023-2 과제연구 발표 & 종강파티(with PIZZA DAY) 개최
2023-2 과제연구 발표 & 종강파티(with PIZZA DAY) 개최 ‘CSE 과제연구 발표 & 종강파티(with PIZZA DAY)’ 행사가 12월 15일(금) 12시부터 포스코국제관에서 1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과제연구Ⅰ·Ⅱ(CSED499)는 학부 4학년이 주로 수강하는 교과목으로, 매 학기 말 연구한 내용을 발표·평가하는 시간을 가진다. 지난 학기부터 개최 장소를 제2공학관에서 포스코국제관으로 변경하여, 학과 구성원뿐 아니라 누구나 쉽게 참관할 수 있도록 했다. 2층 그랜드볼룸에서 주임교수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오후 1시부터는 국제관 1층 로비에 전시된 과제연구 포스터 데모가 진행됐다. 포스터 발표자는 모두 63명(과제연구I 25명, 과제연구II 38명)으로, 참석한 교수와 대학원 실험실 대표가 각각의 포스터 발표에 대해 평가 후 높은 점수를 받은 2명을 우수 발표자로 선정했다. 이번 학기에는 참관에 신청한 학생들도 스티커로 발표자를 평가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이 중 가장 많은 스티커를 받은 포스터를 인기상으로 선정했다. 또한, 우수한 참관 자세를 보이는 학생 4명도 함께 선정해 복지회 상품권을 지급했다. 시상은 12월 18일(월) 교수회의에서 진행했으며, 최우수상은 상금 50만원 국현호(18학번) 학생, 우수상은 상금 25만원 원지윤(19학번) 학생, 인기상은 상금 15만원 최대현(21학번) 학생이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관련 사진 더보기(클릭)]
2023.12.18 1952 -
신성빈(통합)·이남훈 교수, ‘2023 한국인공지능학회 최우수논문상 수상’
신성빈(통합)·이남훈 교수, ‘2023 한국인공지능학회 최우수논문상 수상’ 이남훈 교수 연구팀은 11월 24일(금) 네이버 1784에서 개최된 ‘2023 한국인공지능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학회에서는 총 60여 편이 채택되었고, 논문의 우수성·독창성·완성도 등을 심사해 우수논문 2편과 최우수논문 2편이 선정됐다. 최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된 이번 연구는 ‘The Effects of Overparameterization on Sharpness-aware Minimization: An Empirical and Theoretical Analysis’로, 최근 딥러닝 트렌드 중 하나인 과모수화(overparameterization)가 Sharpness Aware Minimization(이하 SAM)이라는 최적화 기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론적·실험적으로 분석한 내용을 다루며, SAM이 대규모 머신러닝 하에서 수렴 속도 및 일반화 성능 등의 측면에서 장점을 지니는 것을 밝혀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컴퓨터공학과 신성빈 학생(통합 23, 지도교수 이남훈)과 인공지능대학원 이동엽 학생(석사 23, 지도교수 이남훈)이 공동 1저자, 로잔연방공과대학교 Maksym Andriushchenko 박사 과정생이 제3저자, 이남훈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관련 기사 더보기(클릭)]
2023.12.11 1970 -
최승문 교수, 2023년도 교육 부문 포스테키안상 수상
최승문 교수, 2023년도 교육 부문 포스테키안상 수상 최승문 교수가 12월 1일(금) LG연구동 강당에서 열린 ‘포스텍 개교 37주년 기념식’에서 포스테키안상(교육 부문)을 수상했다. 최승문 교수는 컴퓨터공학과 교과과정위원장 및 대학 컴퓨팅·AI 기초교육위원회로 활동하며, 컴퓨팅·AI 기초 교육 내용 개혁을 주도하고 현대적인 교과 교육을 제공함에 있어 많은 기여를 했다. 또한, 전공 교과과정을 트랙제에 기반하여 재설계하고 단계적으로 개편하는 모든 과정을 주도적으로 진행해 그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가상현실 입문’ 그리고 ‘햅틱스 입문’ 세 과목 모두 담당하며 끊임없이 개편하여 학과의 HCI 분야 교육과 다양성 증진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한편, 역대 포스테키안상 수상자로는 ▲2021년 한욱신 교수(연구 부문), 정용준 학생(학생 부문, 15학번), ▲2020년 박찬후 학생(15학번 ㈜긱블 대표, 학생 부문), ▲2019년 조민수 교수(교육 부문), ▲2018년 박성우 교수(봉사 부문), ▲2017년 안희갑 교수(교육 부문)가 있다.
2023.11.30 2121 -
권찬우·장래오·이유담 학부생, ‘제23회 한국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장려상 수상
권찬우·장래오·이유담 학부생, ‘제23회 한국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장려상 수상 컴퓨터공학과 권찬우(21학번)•장래오(21학번)•이유담(22학번) 학생이 11월 25일(토)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제23회 한국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본선에서 장려상을 받았다. 올해 예선 대회에는 전국 60개 대학 365개 팀(1095명)이 참가했으며, 상위 35개 대학의 75개 팀(225명)이 본선에 진출해 5시간 동안 치열한 경쟁을 펼친 결과, 총 14개 팀(42명)이 수상했다. ‘한국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는 프로그래밍에 관심 있는 대학생들에게 문제 해결 능력과 알고리즘 설계 능력을 발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대회로, 2001년부터 ‘국제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ICPC)’ 아시아 지역대회와 연계해 개최하고 있다. 한편, 이유담•권찬우•장래오 학생은 각각 23년, 22년, 21년 PPC(포스텍 프로그래밍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바 있으며, 장래오 학생은 2022~23년 PPC 문제 출제위원으로 활약한 바 있다. [관련 기사 더보기(클릭)]
2023.11.28 2225 -
김성연 대학원생(통합 18), ‘2023 구글 PhD 펠로우십’ 선정
김성연 대학원생(통합 18), ‘2023 구글 PhD 펠로우십’ 선정 김성연 대학원생(통합 18, 지도교수 곽수하)이 ‘2023 구글 PhD 펠로우십 프로그램’의 수혜자로 선정됐다. 데이터 간의 거리 관계를 인공 신경망으로 학습하는 심층거리 학습과 데이터 표현 학습의 빠른 수렴을 가능케 하는 손실 함수를 개발하여 주목을 모아, 13개 분야 중 ‘기계 인식, 음성 기술과 컴퓨터 비전’ 부문 대상자로 선정됐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이 데이터 간 연속적, 계층적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인공지능 학습 방법을 다수 발표해 학계의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김성연 학생을 비롯해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서울대와 KAIST, DGIST, 고려대 소속 학생 등 총 5명이 선발됐으며, 선발된 학생에게는 장학금을 비롯해 구글 전문가와의 토의와 피드백 기회가 주어진다. [관련 기사 더보기(클릭)]
2023.11.02 2127 -
최은수 대학원생(석사 22) · 최대현 학부생(학부 21), ‘2023 박태준 동문 장학생’으로 선정
최은수 대학원생(석사 22) · 최대현 학부생(학부 21), ‘2023 박태준 동문 장학생’으로 선정 최은수 대학원생(석사 22, 지도교수 백승환)·최대현 학부생(학부 21)이 10월 13일(금)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Donating POSTECHians 2023’에서 ‘박태준 동문 장학생’으로 선발됐다. 작년에 이어 올해로 2회를 맞이한 ‘Donating POSTECHians 2023’은 우리대학 동문의 기부를 기념하고, 기부금으로 동문장학생을 선발하여 수상하는 자리이다. 박태준 동문 장학생은 포스텍 설립 정신에 부합하며 재학기간 동안 모교 및 동문사회에 대한 기여도가 높고, 향후 모교와 동문사회에 대한 기여 계획이 명확한 인재를 선발한다. 2023년 장학생 선발 인원은 총 10명(학부 3명, 대학원 7명)으로, 각 장학금 300만원도 함께 전달됐다.
2023.10.18 2645 -
백승환 교수, 2023 ICBS ‘Frontiers of Science Awards’ 수상
백승환 교수, 2023 ICBS ‘Frontiers of Science Awards’ 수상 백승환 교수는 지난 7월 16일부터 28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제1회 국제기초과학회의(Interenational Congress of Basic Science, ICBS)에서 Computational Optics 분야 ‘Frontiers of Science Awards’를 수상했다. ICBS는 수학, 이론물리학, 이론컴퓨터 및 정보과학 등 세 가지 기초과학 분야에 중점을 두고 수백 개의 강연, 회의 및 인적 교류를 통해 전 세계적인 연구자들의 협력과 지식교류를 도모하는 국제대회로 올해 처음 개최됐으며, Frontiers of Science Awards는 최근 5년간 수학, 이론물리학, 이론컴퓨터 및 정보과학의 34개 분야에서 학문적으로 뛰어난 결과를 낸 논문에 수여된다. 본 연구는 나노미터 크기의 소형 카메라를 만들기 위해 AI 기술을 이용하여 쌀 한 톨보다 작은 새로운 렌즈를 디자인하고 이미지 화질 개선 알고리즘을 개발한 것으로, 2021년 국제적 최고 권위 저널인 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된 바 있다. 백승환 교수는 “미래 초소형 카메라의 가능성을 보여준 연구로서 로봇, 바이오 등 넓은 분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며 “컴퓨터비전, 그래픽스, 나노광학, AI를 결합한 연구로 훌륭한 분들과의 협업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라고 전했다. [관련 기사 더보기(클릭)]
2023.09.15 2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