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2006 제6회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은상"
– 이충재(컴공2004), 장기홍(컴공2004), 조호진(컴공 2003) (지도: 이승용교수) – 주최: ACM international Collegiate Programming Contest
2009.03.30 3193 -
World Haptics Conference 2009 "Best Student Paper Award"
월드 햅틱스 컨퍼런스 2009’ 최우수학생논문상 수상 포스텍 햅틱스·로보틱스연구실 공동 연구…이동형 햅틱장치 개발 성과 포스텍(POSTECH) 컴퓨터공학과와 전자전기공학과의 공동 연구팀이 햅틱스 분야 세계 최고 학회인 2009 월드 햅틱스 컨퍼런스(World Haptics Conference 2009)에서 최우수 학생논문상(Best Student Paper Award)을 수상했다. 최근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이 학회에서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햅틱스연구실(지도교수 : 최승문)의 이인(李仁⋅25세, 석박사통합과정), 황인욱(黃仁旭⋅25세, 석박사통합과정)씨 및 전자전기공학과 로보틱스 연구실(지도교수 : 이진수)의 한경룡(韓慶龍⋅33세, 박사과정), 최오규(崔五奎⋅26세, 박사과정)씨로 이루어진 공동 연구팀은 ‘이동형 햅틱 장치의 시스템 향상 방안(System Improvements in Mobile Haptic Interface)’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여 이 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사용자가 걸어 다닐 수 있는 대형 가상 환경에서 기존의 소형 햅틱 장치로 재현할 수 없는 대형 물체를 재현하기 위해 고안된 이동형 햅틱 장치에 관한 연구로, 이동형 햅틱 장치의 사용자 손 위치 추적, 사용자 추종, 그리고 가상촉감 전달과 관련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 성과를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특히, 기존 기술로는 대형 가상 환경에서 시각 및 청각 정보만 재현 가능하였으나, 이 연구결과를 이용하면 해당 환경에서 촉각 정보의 추가적인 재현이 가능해 관련분야의 원천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과학재단 특정기초연구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3년 동안 진행되었다.
2009.03.30 3272 -
모바일 SW 개발, 석달에서 8주로 단축 가능
모바일 SW 개발, 석달에서 8주로 단축 가능 – POSTECH-ETRI,‘모바일 응용 SW 개발 방법론’새로 선보여 – 개발 소요시간과 비용 절감시키는 마삼(MASAM) 1.0버전 공개 – 위피(WIPI)’의무화 해제 따른 모바일 콘텐츠 업체 혼란 방지 기대 휴대폰에 사용되는 모바일 소프트웨어의 개발기간을 최대 8주까지 줄여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위피(WIPI)*’를 포함한 다양한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되어 눈길을 모으고 있다. 특히, 이 개발방법은 올해 4월로 예정된 ‘위피’ 탑재 의무 해제로 인해 혼선을 빚고 있는 모바일 콘텐츠 개발 업체들에게 새로운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POSTECH)-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공동연구팀(연구책임자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강교철 교수)은 지난 2007년 3월부터 지식경제부 산하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다중 플랫폼 지원 모바일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환경(MOPAD)’ 연구사업의 1차 연구성과를 6일 발표한다. 이번 발표에서는 지금까지 3개월 이상 걸렸던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 기간을 최대 8주까지 줄일 수 있는 개발방법론인 ‘마삼(MASAM)’ 1.0 버전이 공개된다. ‘마삼’은 보다 빠른 제품 개발을 추구하는 모바일 콘텐츠 개발업체들의 현실에 맞춰 애자일(agile) 방법론*을 채택하여 프로세스를 간략화함으로써, 제품 개발 소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마삼’은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각 플랫폼에 따라 중복으로 개발해왔던 지금까지의 단점을 보완해,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플랫폼을 자유자재로 변환할 수 있는 방법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플랫폼을 제공하는 통신사별로 소프트웨어를 따로 제작해야 했던 번거로움도 덜었을 뿐 아니라, 올 4월로 예정되어 있는 ‘무선 인터넷 복수(複數) 플랫폼 시대’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 포스텍-ETRI 연구팀은 이 개발방법론을 산업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수준의 아키텍처와 프레임워크*를 개발해 검증에 들어갔으며, 2009년 상반기에 이 성과와 함께 기업용 시제품도 발표할 예정이다. 2010년 2월까지 총 3년간에 걸쳐 진행되는 ‘다중 플랫폼 지원 모바일 응용 SW개발환경’ 사업에는 포스텍, ETRI 외에도 삼성SDS, 다날소프트, SQI소프트 등의 기업이 참여했다. 한편, ‘마삼’ 버전 1.0은 MOPAD 사이트(http://www.mopad.org)에서무상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 위피(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ㆍWIPI) 한국형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표준 규격으로 지난 2001년부터 이동통신 업체들이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국가적 낭비를 줄이자는 목적으로 국책사업으로 위피 사용이 추진되었다. 지난 2005년 4월부터 신규 단말기에는 위피가 의무적으로 탑재되었으나 소비자 편익을 저해한다는 판단에 따라 2009년 4월부터 탑재화 의무가 해제된다. ※ 무선인터넷 플랫폼 이동전화 단말기에 탑재되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응용 프로그램에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 애자일(agile) 방법론 가볍고 기민한 개발 철학을 바탕으로 문서에 대한 부담을 줄이면서 변화에 쉽게 대응하며 사용자 입장에 초점을 맞춘 소프트웨어 개발방법을 말한다. ※ 아키텍처(architecture) 소프트웨어의 주요 특징들을 결정짓는 주요 설계 구조로, 소프트웨어 개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커서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 프레임워크(framework) 다른 소프트웨어 프로젝트가 개발될 수 있도록 하는 ‘뼈대 구조’로, 지원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언어, 등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엮어 주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플랫폼도 프레임워크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2009.01.06 5401 -
유지호학생 – 국제학술대회 IDEAL 2008 에서 최우수 논문상 수상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POSTECH) 대학원생이 국제학술대회에서 최우수학생논문상(Best Student Paper Award)을 수상했다.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석박사 통합과정에 재학 중인 유지호(庾志鎬, 26세/지도교수 최승진)씨는 2008년 11월 2-5일, 대전 카이스트에서 열린 ‘국제데이터공학및자동학습학술대회 (IDEAL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Data Engineering and Automated Learning) 에서 ‘Stiefel 다양체에서의 곱셈의 업데이트를 이용한 비음수 행렬의 직교 분해 방법 (Orthogonal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Multiplicative Updates on Stiefel Manifolds)’ 이란 논문을 발표했다. 유 씨는 집단화 문제에 쓰이는 비음수 행렬 분해 모델의 학습을, 집단의 표시에 적합한 Stiefel 다양체의 구조를 이용하여 개선한 비음수 행렬의 직교 분해 알고리즘을 제안함으로써 집단화의 성능을 한층 향상시켜, 인터넷 문서나 멀티미디어 자료 등의 효율적인 이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08.11.27 4443 -
2008년도 프로그래밍 경진대회 결과
대회 일자 : 2008년 5월 31일(토) 오후 1시부터 오후 7시, 청암 501호 시상식 일자 : 2008년 6월 11일(수) 오후 12시 15분, 공학 2동 2층 관련 홈페이지 팀이름 참가자 학번 학과 2008 수상 Dia 김성환 20080597 전자컴퓨터공학부 최우수상 Empty Set 권혁준 20080427 수학과 우수상 Himalayan Dragon 김광모 20071267 컴퓨터공학과 장려상 염지훈 20071150 수학과 정구환 20071176 수학과 CPU 차명훈 20071136 컴퓨터공학과 특별상 박준영 20071007 수학과 Epsilon, Delta 김영수 20071229 물리학과 특별상 그리고 Lambda 이희수 20080423 수학과 손준호 20080488 생명과
2008.06.09 3548 -
포스텍 플러스 해커를 보안기술자로 인식해주길
언론사의 저작권 적용이 강화되면서 대학홈페이지에서 해당 대학의 소식을 소개한 신문을 스크랩(불법 복제에 해당)하여 홈페이지에 탑재한 것은 저작권 침해(저작권법 제16조 및 제18조의 2항 위배)라며 몇몇 대학에 저작권 침해에 따른 손해배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표 신문기사 URL을 제공하오니 클릭하여 기사를 보시기 바랍니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8041552701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8041552691 한국경제, 동아일보외 지방지 게재일 : 2008. 4. 16, 2008. 4. 17
2008.05.13 4393 -
패턴인식저널 ‘가장 많이 읽힌 논문’ 선정
컴퓨터공학과 최승진 교수와 최희열 군(학부94, 석사2002, 현재 Texas A&M 컴퓨터공학과 박사과정)이 2007년 3월, Elsevier가 발간하는 저널 Pattern Recognition에 게재한 논문, “Robust kernel Isomap,” 이 2007년 10월부터 12월까지 가장 다운로드가 많이 된 Top 25 Hottest Articles 중 1위로 조사되었다. 패턴인식에서 가장 기본적인 연구 중 하나인 비선형 차원축소에 관한 연구로, 기존의 방법들의 한계로 인식된 두 가지 문제인 projection property 부재와 outlier에 취약한 점을 극복하기위하여 kernel 방법을 isometric mapping에 도입한 기법으로 현재 많은 manifold learning 연구에서 인용되고 있다. 과학·기술·의학 저널 분야의 세계 최대의 출판업체인 Elsevier는 ‘사이언스 다이렉트(www.sciencedirect.com)’를 통해 매 분기마다 각 저널에 게재된 논문 중 가장 많이 읽힌 논문을 선정·발표하고 있다.
2008.04.16 5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