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조경진 대학원생, 과기부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생’으로 선발
조경진 대학원생, 과기부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생’으로 선발 조경진(박사 20, 지도교수 오은진) 대학원생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올해 신설한 ‘제1기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생’(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으로 최종 선발됐다. 석·박사 이공계 인재를 위한 차별화된 장학 지원 사업으로, 올해 신청 접수 인원은 2,980여 명으로 약 2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였으며, 신규 장학생 선발 인원은 총 120명(석사 50명, 박사 70명)이다. 조경진 대학원생은 대통령 명의 장학 증서와 박사 기준 매월 200만 원(연 2,400만 원·최대 9,600만 원)의 장학금을 받는다. 관련 기사 더보기(클릭)
2024.04.15 2322 -
황인석·박은혁 교수, CSE Awards 수상
황인석·박은혁 교수, CSE Awards 수상 왼쪽부터 황인석 교수(CSE Award 수상자) · 박은혁 교수(CSE Young Scholar 수상자) · 최승문 주임교수 황인석·박은혁 교수가 2024 올해의 ‘CSE Awards’를 수상했다. 4월 1일(월) 진행된 교수회의에서 ‘CSE Award’를 수상한 황인석 교수는 교육 활동에 크게 기여하고, 학과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학과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탁월하여 학과 전체 교수 중 교육•봉사 부분에서 우수교원으로 선정되었으며, ‘CSE Young Scholar’를 수상한 박은혁 교수는 탁월한 연구성과로 학과의 연구역량과 위상을 높인 교원으로 선정되었다. 수상한 두 교수는 각각 상패와 상금 3백만 원의 부상을 받았다. CSE Awards(우수교원 포상제도)는 학과 발전에 기여한 우수 교원을 격려하고, 우수한 젊은 교원의 사기를 증진하기 위해 2019년 4월 제도를 도입하여, 2020년 첫해 수상자로 배경민•곽수하 교수, 2021년에는 김광선•조성현 교수, 2022년에는 조민수•박재식 교수, 그리고 2023년에는 김동우•옥정슬 교수가 수상했다.
2024.04.02 2464 -
장래오·권찬우·이유담 학부생, ‘The 2024 ICPC Asia Pacific Championship’ 동상 수상
장래오·권찬우·이유담 학부생, ‘The 2024 ICPC Asia Pacific Championship’ 동상 수상 장래오(21학번)·권찬우(21학번)·이유담(22학번) 학생이 3월 2일(토) 하노이에서 열린 ‘The 2024 ICPC Asia Pacific Championship’에서 동상을 받았다. ‘The 2024 ICPC Asia Pacific Championship’은 아시아 지역에 속한 국가별 ACM-ICPC 프로그래밍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기록한 상위 65개 팀이 참여하여 상위 12개 수상팀이 ACM-ICPC 최종 대회인 월드 파이널 진출권을 확보했다. 팀 ‘AllSolvedin1557’로 참가한 장래오·권찬우·이유담 학생은 아시아 10등을 차지하여, 오는 9월 15일에서 20일까지 카자흐스탄에서 개최되는 ACM-ICPC 월드 파이널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다. 한편, 장래오·권찬우·이유담 학생은 각각 21년, 22년, 23년 PPC(포스텍 프로그래밍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바 있고, 3명의 학생 모두 올해 개최되는 PPC 문제 출제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장래오 학생은 2022~24년 3년 연속 PPC 문제 출제위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PPC란, ‘POSTECH Programming Contest’의 약자로 1999년부터 포스텍 컴퓨터공학과에서 개최한 오랜 전통을 가진 행사이며, ACM-ICPC 서울대회를 대비하는 취지로 매년 교내에서 개최된다.
2024.03.12 2781 -
2024 대학원 신입생 환영회 개최
2024 대학원 신입생 환영회 개최 컴퓨터공학과 대학원 신입생 환영회가 3월 11일(월) 오후 6시부터 포스코국제관 2층 더블루힐에서 개최됐다. 교수·대학원 신입생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나혁 원우회장의 개회를 시작으로 최승문 주임교수와 조민수 대학원 주무 교수의 환영 인사와 더불어 대학원 생활을 위한 참석 교수의 조언과 격려도 이어졌으며, 방승양 Graduate Fellowship 시상식도 진행됐다. 이후 랜덤으로 배정된 자리에서 교수·학생 간의 정담을 나누며 만찬을 즐겼고, 신입생 자기소개도 하며 좀 더 친밀한 시간을 가졌다. 이날 함께 진행한 방승양 Graduate Fellowship 시상은 2023-24학년도에 우수한 성적으로 입학한 윤승우(석사과정, 지도교수 백승환), 국현호(석사과정, 지도교수 박은혁), 윤태준(통합과정, 지도교수 한욱신) 대학원생에게 수여했다. 학과 대학원위원회 심의를 거쳐 선정했으며, 최승문 주임교수가 직접 장학증서와 장학금 150만 원을 각각 수여했다. 이 장학금은 우리 학과 초대 주임교수이며 명예교수인 방승양 교수가 지난 2018년 12월에 컴퓨터공학 분야를 선도할 우수한 인재양성을 위한 장학금의 명목으로 5천만 원을 기부하여 ‘방승양 기금’으로 조성됐다. ▶ 관련기사 바로가기(클릭) 방승양 명예교수는 1986년 8월 POSTECH에 부임하여 전자계산학과 초대 주임교수로 봉사하며 교수초빙, 교육 및 연구실험실 조성 등 학과조직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2007년 정년퇴임까지 학생 교육과 Neurocomputing, Character Recognition 분야의 연구에 매진하며 대학발전을 위해 헌신하였고 이러한 공로로 2007년 명예교수에 추대되었다. [관련 사진 더보기(클릭)]
2024.03.12 2450 -
Global Leadership Program(GLP) 장학증서 전달(24-1학기)
Global Leadership Program(GLP) 장학증서 전달(24-1학기) 2024-1학기 Global Leadership Program(이하 GLP) 장학증서와 장학금 전달식이 3월 11일(월) 교수회의에서 진행됐다. 4학기부터 5학기 대상 GLP 수상자는 12명(고민석·임유진·김우철·남민규·손량·차선호·강현모·이유담·권예호·심민섭·김현민·이윤혁)이며, 학기당 300만 원의 장학금을 지원받게 된다. 6학기 이상 GLP 수상자는 2명(김윤호·김소현)으로 연구 지도교수의 실험실로 배정되어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며, 교수 연구비로 연간 최대 8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각각 최승문 주임교수가 직접 장학증서와 장학금을 수여했다. GLP 프로그램은 우수한 무은재생을 유치하여 우리학과의 우수한 교수진 아래서 최적화된 교과과정으로 교육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학과기금으로 지원하고 있다. GLP 장학생은 신청자 중 학부위원회 심의를 거쳐 학기당 15명 내외를 선정하며, 2016년부터 연간 30명 내외 장학생을 선발하였다. 이 장학금은 미국 실리콘밸리 IT 기업 투어, 해외 단기유학, 국내외 학술대회 참가 등 학업과 연구에 필요한 경비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학기당 300~800만 원의 형태로 지원한다. [관련 사진 더보기(클릭)]
2024.03.12 2384 -
최승문 교수, 제15대 컴퓨터공학과 주임교수로 부임
최승문 교수, 제15대 컴퓨터공학과 주임교수로 부임 컴퓨터공학과 제15대 주임교수로 최승문 교수가 3월 1일 자로 부임한다. 최승문 신임 주임교수는 2005년에 본 학과에 부임하여 교과과정위원장 등 학과 내에서 다양하게 봉사했으며, 2019년 9월부터 2년 간 학술정보처장을 역임했다. 전임인 14대 이승용 주임교수는 지난 2022년 3월 1일 부터 2024년 2월 29일 까지 2년 간 컴퓨터공학과를 맡아 신임교수 대거 초빙·Computing Fair·동문의 밤 개최 등 교류 활성화에 힘써 우리 학과를 대내외적으로 위상을 드높이는 데 이바지했다.
2024.02.29 2387 -
[동문 소식] 김준성 동문, 성균관대학교 조교수 부임
김준성 동문, 성균관대학교 조교수 부임 컴퓨터공학과 졸업생 김준성 동문(학사09 · 석사14)이 3월 1일부로 성균관대학교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조교수로 부임한다. 김준성 동문은 Computer Architecture·Performance Modeling·AI Accelerator·Computer Security와 관련하여 연구하고 있으며, 지난 2년간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Google에서 재직한 바 있다.
2024.02.29 3141 -
김종 교수 정년퇴임·명예교수 추대식 개최
김종 교수 정년퇴임·명예교수 추대식 개최 김종 교수의 정년퇴임·명예교수 추대식이 2월 27일(화) 오전 11시 포스코국제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대학행사와 오후 6시 포스코국제관 5층 다목적홀에서 열린 학과행사로 나뉘어 개최됐다. 대학행사는 김성근 총장을 비롯한 대학 교직원·학생 그리고 가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학과행사에는 80여 명의 교수(명예교수 포함)·가족·직원·졸업생이 참석해 1부·2부로 나뉜 행사를 즐겼다. 황인석 교수의 1부 개회를 시작으로, 김종 교수의 약력을 이승용 주임교수가 소개하고, 박찬모 前 총장이 축사를 맡았다. 이후 학과에서 준비한 감사패와 선물·꽃다발을 전달하며 케이크 컷팅도 진행됐으며, 김종 교수가 연구개발과제 5억 원을 학과 연구발전기금으로 기부해 이승용 주임교수에게 전달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후 강교철 명예교수와 한성호 교수(산경)의 건배사로 준비된 만찬을 즐기며 정담을 나눴으며, HPC 연구실 졸업생들이 준비한 감사 영상으로 지상우 동문이 사회를 맡아 2부를 열었다. 이희조 동문·양경철 교수(전자)·이종혁 명예교수·홍성제 명예교수가 마이크를 잡아 김종 교수와의 추억을 회상하고 인생 2막 시작을 축하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종 교수는 1992년 8월 1일 부임하여 31년 7개월을 재직하며, 박사 24명과 석사 71명 총 95명의 대학원생을 배출했다. 특히, 고성능 컴퓨팅과 컴퓨터 보안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로 국내외에서 대학의 위상을 드높이며, 우리나라 산업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 또한, 학술정보원장, 정보통신연구소장, 이동단말내장형소프트웨어 연구센터장, 컴퓨터공학과 주임교수 등 대학의 주요 보직을 맡아 대학 발전에도 이바지했다. [관련 사진 더보기(클릭)]
2024.02.28 2039 -
최은수·전유진 대학원생, ‘2023 학제간 공동연구 프로그램’ 우수연구팀 선정
최은수·전유진 대학원생, ‘2023 학제간 공동연구 프로그램’ 우수연구팀 선정 최은수(석사 22, 지도교수 백승환), 전유진(통합 23, 지도교수 백승환) 대학원생이 속한 연구팀이 2월 15일(목) 포스코국제관에서 열린 ‘2023학년도 BK21 연구지원 프로그램 성과공유회’에서 우수연구팀으로 선정되어 상금 200만원을 수여 받았다. 대학원혁신영역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2023 학생주도형 학제 간 공동연구 그룹 지원 프로그램’은 타 전공(분야)의 타 연구실 소속 구성원과 함께 그룹을 구성하여 융합 연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했으며, 14팀의 신청그룹 가운데 3팀이 우수연구팀으로 선발됐다. ‘뉴럴 메타광학 기반 360도 3차원 이미징’의 주제를 가지고 우리 학과 최은수·전유진 학생은 기계공학과 학생(김경태, 윤주영)과 함께 연구를 진행하여, 학습된 메타표면으로 360도로 최적화된 구조광을 한 번에 투과하며 360도 3D 이미징의 성능을 기존 연구보다 5배 향상됐다.
2024.02.23 1842 -
이나혁 대학원생(석사 23), ‘IPIU 2024’ 우수 논문상 대상 수상
이나혁 대학원생(석사 23), ‘IPIU 2024’ 우수 논문상 대상 수상 이나혁 대학원생(석사 23, 지도교수 조민수)이 2월 2일 제주도에서 개최된 ‘제36회 영상처리 및 이해에 관한 워크샵 2024(이하 IPIU 2024)’에서 우수 논문상 대상을 수상했다. IPIU 2024는 한국컴퓨터비전학회,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한국정보과학회, 대한전자공학회 및 한국통신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며 ▲영상처리 ▲영상이해 ▲패턴 인식 ▲영상부호화 ▲기계학습 등의 영상인식 AI분야에서는 국내 최대의 학술 대회다. ‘Efficient Point Cloud Matching for 3D Geometric Assembly’라는 주제로, 특징 대응관계 계산을 위해 이차 복잡도의 연산을 요구했던 기존의 고차 합성곱(High-order Convolution)을 저비용의 메모리와 복잡도만으로도 효율적으로 근사할 수 있는 고차 특징 변환레이어 Proxy Match Transform(PMT)를 제안했다. 이를 통해, 복잡한 구조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조각 간 신뢰할 수 있는 대응관계 생성이 필수적인 기하학적 조립 분야에서 최첨단 성능을 달성했으며, 기존 최첨단 기법과 비교하였을 때, 21.5배 적은 연산량과 3.38배 작은 파라미터만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임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2024.02.23 3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