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전명재 교수 부임
전명재 교수 부임 전명재 교수가 오는 8월 1일 컴퓨터공학과에 부임한다. 전명재 교수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워크로드를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설계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다양한 산업체와 협력하여 엣지-클라우드에 걸친 다양한 유즈케이스에 맞는 시스템 플랫폼을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 전명재 교수 홈페이지: https://sites.google.com/site/myeongjae
2024.07.11 4288 -
한욱신 교수, 방대한 AI 데이터 처리 기술 개발
한욱신 교수, 방대한 AI 데이터 처리 기술 개발 한욱신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초거대 그래프의 지능형 고속 처리를 위한 GDBMS(그래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를 개발했다. 국가 R&D 과제로 선정된 이 연구 프로젝트는 2021년에 시작돼 다수의 성과를 이뤄냈으며, 특히 국제학술회의 출판물, 특허출원 및 등록 등을 통해 연구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한욱신 연구책임 교수는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AI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미래 사회에 필수적인 데이터 처리 기술의 진화를 견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개발된 GDBMS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만큼 포스텍은 한국공개SW협회와 적극 협력해 국내외 기업의 도입을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 연구는 경희대학교, 강원대학교, 큐브리드, 한국공개소프트웨어협회와 협력해 진행하고 있다. [관련 기사 더보기 / 출처 : IT조선(조상록 기자)]
2024.07.01 1770 -
HIS 연구실, Best Paper Award 수상(ACM MobiSys 2024)
HIS 연구실, Best Paper Award 수상(ACM MobiSys 2024) HIS (Human-centered Intelligent Systems) 연구실의 이규식(통합, 24) 학생과 황인석 교수는 6월 5일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Systems, Applications and Services’ (MobiSys 2024)에서 Best Paper Award를 수상했다. ACM MobiSys는 모바일 시스템 및 응용 분야를 대표하는 최우수 국제학술대회이다. 이번에 수상한 논문은 “PowDew: Detecting Counterfeit Powdered Food Products using a Commodity Smartphone”으로, 분말 형태 식품의 진위 여부를 스마트폰 만으로 누구나 손쉽게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으로, 위조 분말과 진품 분말의 물리적인 특성 차이로 인해 물이 분말과 반응할 때의 형태 변화가 다르다는 점을 활용했다. 분말 위에 물방울을 떨어뜨린 후, 물방울이 분말과 반응할 때의 형태 변화를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하고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분말의 진위를 판별하며, 일명 ‘가짜 분유’ 파동과 같이 공공 식품 안전을 크게 위협할 수 있는 잠재적 문제에 대해 소비자 스스로가 선제적으로 본인과 가족을 보호할 수 있는 저비용 보편적 솔루션을 선보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한편, 이 연구는 KAIST 전산학부, 연세대학교 IT융합공학과, 싱가포르국립대(NUS) 컴퓨팅학부와의 공동 연구로 진행되었다.
2024.06.20 1868 -
CORE 멘토링 프로그램…“진로 고민 STOP”
CORE 멘토링 프로그램…“진로 고민 STOP” 우리학과 학부생을 대상으로 진로에 대한 방향성을 잡아주고자 ‘Career Opportunity Roadmap Exploration(이하 CORE) 멘토링 프로그램’을 2024학년도 1학기에 Mentoring과 Speech로 구성하여 새로운 형태로 진행했다. 국내 유수 IT기업과 스타트업 종사자를 비롯한 대학원생 등 다양한 분야의 졸업 10년 이내 8명의 선배 멘토들이, 2~3인의 팀으로 결성된 19명의 멘티 학생들과 이번 학기 각각 5번씩의 멘토링을 진행했다. 또한, 졸업한 현직 동문을 초청해 다양한 경험과 현직에서의 스토리를 공유하는 SPEECH 세미나도 5월 17일(금)과 24일(금) 두 차례에 걸쳐서 진행했으며, 김준영 동문(학사 04, 베이글코드 대표이사/1000억 매출기업 10년 전 이야기 들려줄께)과 김동훈 동문(학사 90, 인벤티지랩 부사장/전산학도가 바이오 스타트업에서 살아남기)이 연사로 자리했다. 한편, 김준영 대표는 동문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저녁 시간 통나무집에서 100여 명이 넘는 구성원에게 골든벨을 울리는 행사와 더불어, 참석한 동문과 함께 재학생들에게 아낌없는 진로 탐색의 멘토링 시간을 함께했다. 이 CORE 프로그램은 김병수 학생(학부, 17)이 휴학 중 산업기능요원으로 현장에서 부딪히며 부족함을 느낀 부분을 후배들이 미리 알고 사회에 진출하기를 희망하는 마음으로, 복학 후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학과에 제안하였으며 프로그램 운영에도 참여했다.
2024.06.18 3252 -
최은수(석사, 22)·백승환 교수, AI 기반 메타물질로 360도 구조광 3D센서 구현 성공…자율주행차·로봇 등 활용 기대
최은수(석사, 22)·백승환 교수, AI 기반 메타물질로 360도 구조광 3D센서 구현 성공…자율주행차·로봇 등 활용 기대 최은수 학생(석사, 22)과 백승환 교수가 속한 공동연구팀이 인공지능(AI) 기반의 메타표면 설계법을 개발해 360도 홀로그램 구조광 설계와 제작에 성공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 6월 13일 밝혔다. 새로운 설계법으로 제작한 메타표면을 적용한 360도 카메라-구조광시스템을 이용하여 세계 최초로 360도 전방위 홀로그램과 구조광기반 360도 3차원 이미징 기술을 실증했다. 본 기술을 이용하면 애플 face ID보다 10배 이상 작은 디바이스 제작이 가능하며 고전적인 회절광학의 낮은 설계 자유도와 큰 크기 문제를 메타광학으로 극복할 수 있다. 백승환 교수는 “360도 구조광 기술은 360도 주변 환경을 인식해야 하는 로봇과 자율 주행 자동차를 비롯해 시야각을 높여야 하는 가상/확장현실(VR/AR) 시스템을 비롯해 360도 전 공간에서 자유롭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간-컴퓨터 밀착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백승환 교수팀과 기계공학과 노준석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관련 기사 더보기(클릭) / 출처: 전국매일신문(정은모 기자), 인공지능신문(박현진 기자), 충남일보(김현수 기자)
2024.06.17 1714 -
HIS 연구실, Honorable Mention Award 수상(ACM CHI 2024)
HIS 연구실, Honorable Mention Award 수상(ACM CHI 2024) HIS (Human-centered Intelligent Systems) 연구실의 이정은(통합, 21)·윤수원(학부, 21)·이규식(통합, 24) 학생과 황인석 교수는 5월 13일(월)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개최된 ‘ACM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CHI 2024) 에서 Honorable Mention Award를 수상했다. ACM CHI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분야를 대표하는 최우수 국제학술대회이다. 이번에 수상한 논문은 “Open Sesame? Open Salami! Personalizing Vocabulary Assessment-Intervention for Children via Pervasive Profiling and Bespoke Storybook Generation”으로 거대언어모델(LLM) 및 홈IoT 기기에 기반하여 어린이 언어 발달을 위한 개인화된 학습 목표 추출 및 동화책 생성 시스템을 개발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그 이론적 근거와 일상융합형 전주기성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언어치료 현장으로부터의 어린이 어휘 진단 및 중재 과정의 개인화 필요성 문제 발굴, 언어병리학적 이론에 근거한 개인화 학습목표 추출 알고리즘 및 생성형 인공지능과의 상호작용 기법 설계, 어린이 일상생활과 언어발달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적응해 나가는 개인맞춤형 시스템 개발의 측면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된다. 한편, 이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 언어병리학과 임동선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로 진행됐다.
2024.06.11 1816 -
2024-1 과제연구 발표 & 종강모임(with PIZZA DAY) 개최
2024-1 과제연구 발표 & 종강모임(with PIZZA DAY) 개최 ‘CSE 과제연구 발표 & 종강모임(with PIZZA DAY)’ 행사가 5월 31일(금) 12시부터 인공지능연구원 중강당에서 1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과제연구Ⅰ·Ⅱ(CSED499)는 학부 4학년이 주로 수강하는 교과목으로, 한 학기 동안 연구한 내용을 매 학기 말 발표·평가하는 시간을 가진다. 이번 학기부터 개최 장소를 인공지능연구원 중강당 로비로 변경하여, 종강모임과 겸하여 열렸으며 스탠딩으로 마련된 식전 음식과 함께 자유롭게 참관할 수 있도록 했다. 1층 중강당에서 학부 주무교수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오후 1시부터는 인공지능연구원 1층 로비에 전시된 과제연구 포스터 데모가 진행됐다. 포스터 발표자는 모두 83명(과제연구I 53명, 과제연구II 30명)으로, 참석한 교수와 대학원 실험실 대표가 각각의 포스터 발표에 대해 평가 후 높은 점수를 받은 1명을 최우수, 2명을 우수, 4명을 인기 발표자로 선정했다. 시상은 6월 7일(금) 교수휴게실에서 진행됐으며, 최우수상은 김지경(19학번) 학생이 상금 50만원을, 우수상은 김채현(20학번)·송찬호(20학번) 학생이 상금 25만원을, 인기상은 김나림(21학번)·박은하(20학번)·강동현(20학번)·김주은(21학번) 학생이 상금 5만원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2024.06.10 1650 -
[스크랩] 조호진 동문(학부 03, 통합 07), 한차원 높은 AI의 성능 구현과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결할 ‘합성데이터’의 중요성(월간인물 4월호)
월간인물(2024 April)_ 컴퓨터공학과 조호진 동문(학부 03, 통합 07) 한 차원 높은 AI의 성능 구현과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결할 ‘합성데이터’의 중요성 조호진 대표는 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사와 박사를 졸업하고, 영상복원 및 영상 화질 개선 분야의 연구에 집중했다. 박사 과정 중에는 디자인 소프트웨어 분야의 넘버원 기업인 Adobe사의 Photoshop팀에서 인턴을 하며 Photoshop CS6 개발에 참여한 이력도 있다. 이후 자율주행 기술을 설계하는 스타트업으로 자리를 옮겨 초기 멤버로 8년 가까운 경력을 쌓았다. 자동차에 들어가는 AI 기술의 모델을 설계하는 일에서 자동차의 출시까지 프로젝트의 전체 프로세스를 경험했고, 이 시기에 차량에서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고성능 비전의 AI 기능 개발, 독일 자동차 회사의 ADAS 양산, 미국 1차 벤더사의 ADAS 선행기술 개발에 리드 개발자로 참여하는 등 대체 불가한 경력을 가진 인재다. 자율주행 기술의 최전선에서 일하며 그가 몸으로 체득한 기술의 키워드는 단연 데이터다. 완전 자율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건 완전한 데이터의 수집이다. 그러나 완전한 데이터 수집에는 시간과 비용을 비롯해 하드웨어, 법적인 제약까지 여러 문제가 산재해있고, 이는 데이터의 부족이나 편향 문제로 이어진다. 어느 순간 조 대표에게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는 열정이 싹텄고, 그는 생성 AI를 떠올렸다. 생성 AI는 당시에는 더욱 생소한 기술이었고, 관심이 적었던 만큼 유의미한 결과도 없는 상황이었지만 언젠가 때가 올 거라 믿었다고. 그로부터 몇 년 후 생성 AI를 아이템으로 한 ㈜젠젠에이아이를 창업했다. 이미지와 비디오 데이터의 품질을 개선하는 일에는 자신감이 있었기에 고품질의 이미지와 비디오 합성데이터 생성이라는 구체적인 사업의 방향도 정했다. [출처 월간인물(https://www.monthlypeople.com) 4월호 기사 더보기 (클릭)]
2024.05.30 1924 -
곽성재·권찬우·김치헌·김태연·이원기 학부생, 세계 최고 해킹대회 ‘DEFCON CTF 32’ 본선 진출 쾌거
곽성재·권찬우·김치헌·김태연·이원기 학부생, 세계 최고 해킹대회 ‘DEFCON CTF 32’ 본선 진출 쾌거 컴퓨터공학과 곽성재(18학번)·권찬우(21학번)·김치헌(19학번)·김태연(22학번)·이원기(20학번) 학생이 소속된 연합팀 ‘Cold Fusion’이 5월 4일 오전 9시부터 5월 6일 오전 9시까지 총 48시간 동안 진행된 세계최고 해킹대회 ‘DEFCON CTF 32’ 예선에서 전체 6위로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올렸다. ‘Cold Fusion’은 포스텍과 고려대, 하임시큐리티(기업) 등 한국인 해커 50여 명으로 구성된 연합팀으로, 본선에서 다크호스로 꼽히고 있다고 알려졌다. 해당 학생들이 속한 학내 PLUS 해킹 동아리는 DEFCON 이외에도, 작년에 열린 세계 3대 CTF 중 하나인 HITCON에 진출해 4위를, 국내에서 가장 큰 CTF 중 하나인 CODEGATE에서 대학부 3위의 성과를 거둔 바 있다. 한편, DEFCON CTF 32 본선은 오는 8월 8일부터 11일까지 라스베이거스의 사하라 호텔에서 개최된다.
2024.05.22 2208 -
2024 프로그래밍 경진대회(PPC) 개최
2024 프로그래밍 경진대회(PPC) 개최 포스텍 프로그래밍 경진대회(PPC)가 4월 27일(토) 오후 1시부터 4시간 동안 박태준학술정보관 506호에서 개최됐다. ‘ACM-ICPC 지역 본선’을 대비하는 취지로 열리며, 1999년부터 POSTECH에서 개최한 오랜 전통을 가진 행사로, 수상자는 ICPC 본선 출전 시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ACM-ICPC 본선에서 적용되는 1팀당 3인이라는 자격에 맞춰, 동일한 신청 자격과 더욱 높아진 수상 장학금으로 이뤄진 이번 PPC 행사에는 포스텍 재학생 13팀(39명)이 참석한 가운데, 최우수상(1팀) · 우수상(1팀) · 장려상(2팀) · 신인상(2팀) · 특별상(2팀)을 두고 경합을 다퉜다. 예년보다 엄격해진 신청 자격과 1달 정도의 이른 개최로 인해, 역대 참가인원에 비해 다소 적은 인원이 참가했지만, 작년에 이어 각 문제를 해결하는 팀에게는 형형색색의 풍선을 달아주는 이벤트도 함께 진행해 대회의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시상은 5월 31일(금) 과제연구발표(with 종강파티) 행사장인 포스코국제관 그랜드볼룸에서 진행할 예정이며, 2024 포스텍 프로그래밍 경진대회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행사 사진 더보기(클릭) <2024 PPC 수상자> 구분 팀명 성명 1등(최우수상) N-King 곽민성(무은재),김경민(IT),김재환(무은재) 2등(우수상) 일꼴안 송문경(컴공),하태혁(컴공),제태호(컴공) 3등(장려상) 19*3 김관호(컴공),오정민(컴공),이상현(컴공) 3등(장려상) LHL 이명률(컴공),이세광(컴공),하상범(전자) 신인상 cpp 한예림(무은재),장홍준(무은재),권영빈(무은재) 신인상 아이디어있어? 고건하(무은재),염예찬(무은재),조현우(무은재) 특별상 폭풍124 박찬용(무은재),박재원(무은재),이명준(무은재) 특별상 개발 김순호(컴공),권두홍(컴공),김도영(컴공) *PPC란, ‘POSTECH Programming Contest’의 약자임.
2024.05.10 2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