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이민재 대학원생, IPIU 2025 우수포스터발표상 수상
이민재 대학원생, IPIU 2025 우수포스터발표상 수상 이민재 대학원생(통합 23, 지도교수 김원화)이 ‘제37회 영상처리 및 이해에 관한 워크샵(IPIU 2025)’에서 우수포스터발표상을 받았다. 이번에 수상한 논문은 “Gradient 흐름을 통한 프롬프트 개선 기법(ReGRAF: Training-free Prompt Refinement via Gradient Flow for Segmentation)”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분야의 대표적인 foundation model인 Segment Anything Model(SAM)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SAM의 세그멘테이션결과의 품질이 입력 프롬프트(점, 박스 등)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SAM의 출력값(output)을 기반으로 gradient 흐름을 계산하고 이를 통해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보정함으로써 더 정확한 세그멘테이션 마스크(segmentation mask)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과정은 별도의 추가 학습 없이 수행되며, 향후 다양한 세그멘테이션 연구에서 프롬프트를 사용하는 다른 인공지능 모델에도 직접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높은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컴퓨터공학과 이민재 대학원생(통합 ’23)과 인공지능대학원 허성우 대학원생(박사 ’23)이 공동 1저자, 인공지능대학원 황수진 학생이 제2저자, 김원화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2025.04.22 1432 -
Global Leadership Program(GLP) 장학증서 전달(25-1학기)
Global Leadership Program(GLP) 장학증서 전달(25-1학기) 2025-1학기 Global Leadership Program(이하 GLP) 장학증서와 장학금 전달식이 4월 7일(월) 교수회의에서 진행됐다. 4학기부터 5학기 대상 GLP 수상자는 4명(이윤규·엄준하·김남규·김홍근)이며, 학기당 300만 원의 장학금을 지원받게 된다. 6학기 이상 GLP 수상자는 1명(김순호)으로 연구 지도교수의 실험실로 배정되어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며, 교수 연구비로 연간 최대 800만 원까지 지원받아 연구를 진행한다. 최승문 주임교수가 해당 학생에게 직접 장학증서와 장학금을 수여했다. GLP 프로그램은 우수한 무은재생을 우리학과에 유치하여 우수한 교수진 아래서 최적화된 교과과정으로 교육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학과 자체예산으로 지원하고 있다. GLP 장학생은 신청자 중 학부위원회 심의를 거쳐 학기당 15명 내외를 선정하며, 2016년부터 연간 30명 내외 장학생을 선발하였다. 이 장학금은 해외 단기유학, 국내외 학술대회 참가 등 학업과 연구에 필요한 경비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학기당 300~800만 원의 형태로 지원한다.
2025.04.21 478 -
2025년 ‘방승양 Graduate Fellowship’ 시상
2025년 ‘방승양 Graduate Fellowship’ 시상 ‘방승양 Graduate Fellowship’ 장학증서와 장학금 전달식이 4월 7일(월) 학과 교수회의에서 진행됐다. 정재우(석사과정, 지도교수 박상돈), 황윤하(석사과정, 지도교수 이승용) 학생이 2024-25학년도 ‘방승양 Graduate Fellowship’ 장학생으로 선정됐다. 장학생은 학과 대학원위원회 심의를 거쳐 선정하였으며, 시상은 학과 교수회의에서 최승문 주임교수가 직접 장학증서와 장학금 150만 원씩을 각각 수여하였다. 방승양 명예교수는 지난 2018년 12월에 컴퓨터공학 분야를 선도할 우수한 인재양성을 위한 장학금으로 5천만 원을 기부하여 ‘방승양 기금’을 조성하였다. ▶ 관련기사 바로가기 방승양 명예교수는 1986년 8월 POSTECH에 부임하여 전자계산학과 초대 주임교수로 봉사하며 교수초빙, 교육 및 연구실험실 조성 등 학과조직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2007년 정년퇴임까지 학생 교육과 Neurocomputing, Character Recognition 분야의 연구에 매진하며 대학발전을 위해 헌신하였고 이러한 공로로 2007년 명예교수에 추대되었다.
2025.04.16 610 -
오은진·백승환 교수, ‘2025 CSE Awards’ 수상
오은진·백승환 교수, ‘2025 CSE Awards’ 수상 4월 7일(월) 컴퓨터공학과 교수회의에서 ‘2025 CSE Awards’ 시상식이 진행됐다. 오은진 교수는 학과 발전을 우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교육 활동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아 ‘CSE Award’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백승환 교수는 탁월한 연구성과로 학과의 연구역량과 위상을 높인 점을 인정받아 ‘CSE Young Scholar’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수상자에게는 각각 상패와 상금 3백만원이 수여됐다. CSE Awards(우수교원 포상제도)는 학과 발전에 기여한 교원을 격려하고, 우수한 젊은 교원의 사기 진작을 위해 2019년 4월 도입되었으며, ▲2020년 배경민•곽수하 교수(1회 수상자), ▲2021년 김광선•조성현 교수, ▲2022년 조민수•박재식 교수, ▲2023년 김동우•옥정슬 교수, 그리고 ▲2024년 황인석•박은혁 교수가 수상한 바 있다.
2025.04.14 628 -
장래오·권찬우 학부생, ‘The 2025 ICPC Asia Pacific Championship’ 동상 수상
장래오·권찬우 학부생, ‘The 2025 ICPC Asia Pacific Championship’ 동상 수상 컴퓨터공학과 장래오(21학번)·권찬우(21학번) 학생과 IT융합공학과 정윤성 학생이 3월 1일(토) 싱가포르에서 열린 ‘The 2025 ICPC Asia Pacific Championship’에서 동상을 받았다. ‘The 2025 ICPC Asia Pacific Championship’은 아시아 지역별 ICPC 대회를 통해 우수한 성적을 기록한 상위 65개 팀이 참여하며, 최종 상위 16개 수상팀이 ICPC 최종 대회인 월드 파이널에 진출하게 된다. 팀 ‘PhoKing’으로 참가한 장래오·권찬우·정윤성 학생은 아시아 15등(동상)을 차지하여, 오는 8월 31일에서 9월 5일까지 아제르바이잔에서 개최되는 ICPC 월드 파이널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다. 또한, 장래오·권찬우 학생은 각각 21년, 22년 포스텍 프로그래밍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1등)을 받은 바 있으며, 2년 연속 ICPC 월드 파이널에 진출한 한국 대학생으로는 두 학생이 유일하다. 국내 대학 중 포스텍과 함께 서울대, KAIST가 2년 연속 파이널에 진출하게 됐다. * 팀 ‘PhoKing’은 작년 12월 하노이에서 열린 <The 2024 ICPC Asia Hanoi Regional Contest>에서 은상(12등) 수상으로, <The 2025 ICPC Asia Pacific Championship> 진출권을 확보한 바 있음.
2025.04.10 615 -
박찬후 학생(학부 15, 긱블 대표), ‘2025 포브스코리아 30세 미만 30인으로 선정’
박찬후 학생(학부 15, 긱블 대표), ‘2025 포브스코리아 30세 미만 30인으로 선정’ 컴퓨터공학과 박찬후 학생(학부 15, 긱블 대표)이 ‘2025 포브스코리아 30세 미만 30인’에 선정됐다. [포브스코리아 기사 내용 발췌] 박찬후 긱블 대표는 2017년부터 과학·공학 관련 콘텐트를 유튜브 채널에 올렸다. 영화나 게임, 만화에 나오는 가상물품(무기, 로봇 등)을 직접 제작해 성능을 테스트하는 모든 과정을 영상 콘텐트에 담는다. 지난 3월 10일 기준 긱블 채널 구독자는 약 120만 명에 달한다. 박 대표는 “사명 긱블(Geekble)은 영단어 Geek(괴짜·공부벌레)과 Able(할 수 있다)을 합쳐 ‘괴짜는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뜻”이라며 “푸드와 스포츠, 음악 등 콘텐트 홍수 속에서 과학·공학을 소재로 독보적인 차별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긱블은 2021년 과학 교구 커머스로 사업을 확장한 뒤 2023년 들어 오프라인 교육 서비스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출처: 포브스코리아 노유선 기자, 관련 기사 더보기(클릭)]
2025.04.08 517 -
컴퓨터공학과, 과기부 ‘개인기초연구사업’ 4개 과제 선정
컴퓨터공학과, 과기부 ‘개인기초연구사업’ 4개 과제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하는 ‘2025년 개인기초연구사업’ 중 컴퓨터공학과 한욱신·황인석 교수가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박지성·박상돈 교수가 ‘우수신진연구자 지원사업’에 선정돼 총 40억여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됐다.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에 선정된 한욱신·황인석 교수는 향후 3년~5년간, ‘우수신진연구자 지원사업’에 선정된 박지성·박상돈 교수는 향후 3년~4년간 연구비를 각각 지원받아 기초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한편,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은 창의성 높은 개인 연구 지원을 통해 중견급 연구자들이 우수한 기초연구 능력을 키우고, 리더 연구자로서의 성장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우수신진연구자 지원사업’은 신진연구자의 창의적 연구의욕 고취 및 연구역량 극대화를 통해 우수 연구인력으로 양성하는 국가 주요 기초연구사업이다. ▲ 선정 과제 목록(4개) 1) 멀티모달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추론을 지원하는 AI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한욱신 교수) 2) 일상성과 표준성을 양립하는 인간중심의 능동 조향 센싱 및 조직적 추론 플랫폼(황인석 교수) 3) 구성·설정·계산 가능한 저장장치 시스템(박지성 교수) 4) 언어 생성 모델의 환각 효과 제어를 위한 평생 학습 기법 개발(박상돈 교수)
2025.04.07 519 -
서영주 초대 찬혜(贊惠) 석좌교수 추대행사 성황리 개최
서영주 초대 찬혜(贊惠) 석좌교수 추대행사 성황리 개최 컴퓨터공학과 초대 찬혜 석좌교수 추대행사가 3월 26일(수) 오후 4시 포스코국제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에는 추대자 서영주 교수와 포스텍 제4대 총장을 지낸 박찬모 전 총장을 비롯해 평양과학기술대학교 이승율 총장과 포스텍 학생·교수·연구원 등 교내 구성원 2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박지성 교수의 개회를 시작으로 찬혜 석좌교수 제도를 최승문 주임교수가 소개하며, 박찬모 전 총장의 축사로 1부를 열었다. 또한, 찬혜석좌교수 추대장 전달과 더불어 ‘JUST DO IT’을 주제로 서영주 교수의 특별강연이 진행되며 질의응답 시간도 함께 이어졌다. 이후 2부는 포스코국제관 2층 그랜드볼룸 내 리셉션장에 마련된 식전 음료와 함께 네트워킹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박찬모 전 총장의 건배사로 준비된 만찬을 즐기며 축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편, 찬혜(贊惠) 석좌교수란, 포스텍 제4대 박찬모 총장님과 박혜정 사모님이 출연하여 조성된 찬혜기금으로 탁월한 연구업적을 쌓은 컴퓨터공학과 소속 전임교원을 선정하여 임명한다. 서영주 교수는 1998년 8월 1일 컴퓨터공학과에 부임하여, 탁월한 학문적 성취와 헌신적인 학생 교육에 대한 열정, 그리고 학과 및 IT학부 공동체 발전을 위한 리더십을 높이 평가받아 초대 찬혜석좌교수로 추대됐다.
2025.04.04 387 -
서영주 초대 찬혜(贊惠) 석좌교수 추대식 & 특별 강연 개최
서영주 초대 찬혜(贊惠) 석좌교수 추대식&특별강연 개최 “초대 찬혜(贊惠) 석좌교수 추대식 및 특별강연”에 포스텍 구성원을 초대합니다. 컴퓨터공학과에서는, 포스텍 제4대 박찬모 총장님과 박혜정 사모님이 출연하여 조성된 찬혜기금으로 탁월한 연구업적을 쌓은 컴퓨터공학과 소속 전임교원을 선정하여 찬혜석좌교수로 임명하고 있습니다. 탁월한 학문적 성취와 헌신적인 학생 교육에 대한 열정, 그리고 학과 및 IT학부 공동체 발전을 위한 리더십을 높이 평가받아 초대 찬혜석좌교수로 추대되신 서영주 교수님의 특별강연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2025.03.25 594 -
김광선 교수, 과기부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선정…10년 지원
김광선 교수, 과기부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선정…10년 지원 김광선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하는 ‘2025년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과제’에 선정되어, 연 2억여 원의 연구비를 10년 간 지원 받게 됐다. 김광선 교수는 최신 AI 응용에서 요구되는 연산의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센터 내 CPU, GPU, NPU 등 다양한 연산기 간 부하 불균형 및 효율성 저하가 심화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통합형 ISA(명령어 셋 아키텍처) 기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스택을 개발한다. 2023년부터 시행된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과제’는 연구자가 장기간 한 분야에 몰두해 도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과학기술 전 분야에서 30명의 연구자를 선정했다.
2025.03.24 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