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이남훈 교수, 과기정통부 ‘2025년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공동연구 참여
이남훈 교수, 과기정통부 ‘2025년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공동연구 참여 컴퓨터공학과 이남훈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2025년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개척형)’에 선정된 ‘극한효율 초거대 아이싱 파운데이션 모델 학습 시스템 연구’에 공동연구자로 참여한다.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개척형)’은 국내에서 활발히 시도되지 않은 신규 연구 분야를 개척하고,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통해 차세대 유망 연구자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총 1,000여 건의 지원 과제 중 103개 과제만이 선정되었으며, 이 중 개척형 유형은 단 24개 과제만이 최종 선정되어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이남훈 교수는 본 연구에서 물리기반 연산을 이용하여 저전력·저비용으로 파운데이션 모델(FM)을 학습할 수 있는 Ising foundation model(IFM) 통합 학습 시스템을 구축·활용하고, 물리연산 환경에 최적화된 제약 최적화 기반의 FM 경량화 알고리즘을 통해, 기존에는 연산 비용의 한계로 시도하기 어려웠던 고비용 모델 압축 기법들을 새롭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 연구팀은 미국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 미시간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캐나다 사스캐처원대학교(University of Saskatchewan), 일본 도쿄대학교(University of Tokyo), 도쿄과학대학(Institute of Science Tokyo), 오스트리아 과학기술연구소(IST Austria), 그리고 구글(Google) 등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융합적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2025.06.23 56 -
김원화 교수 연구팀, 과기정통부 ‘2025년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선정
김원화 교수 연구팀, 과기정통부 ‘2025년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선정 컴퓨터공학과 김원화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2025년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개척형)’에 최종 선정됐다.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은 소규모 기초 연구 그룹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으로, 세계적인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심화형’과 ‘개척형’ 두 유형으로 나뉘어 우수 연구팀을 선정·지원하고 있다. 김원화 교수 연구팀은 이번 사업에서 ‘비정형 뇌영상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하학적 딥러닝 연구’를 주제로 선정되었으며, 향후 3년간 총 15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연구팀에는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이승용·류일우 교수와 KAIST 김재철AI대학원 안성수 교수도 공동 연구자로 참여한다. 이번 연구는 뇌 표면을 3D 메시(Mesh)로 표현한 데이터와 뇌 내부 뉴런 연결성을 나타내는 뇌 커넥톰 그래프를 통합적으로 분석·생성하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뇌의 발달 및 퇴행 과정을 보다 정밀하게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바탕으로 뇌 구조 및 연결체 분석에 있어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비정형 뇌 데이터 분석의 실용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인공지능과 의료영상 융합 분야의 핵심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또한, 뇌 변화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심화하고,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연구팀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의 Guorong Wu 교수 연구팀과의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연구의 범위와 깊이를 더욱 확장할 예정이다.
2025.06.17 195 -
신환 학생, ‘2024년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전산개발 직렬 수석 합격
신환 학생, ‘2024년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전산개발 직렬 수석 합격 컴퓨터공학과 신환(학부 ’19학번) 학생이 ‘2024년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기술고시)’ 전산개발 직렬에서 수석으로 합격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올해 5급 기술직 시험에는 총 1,364명이 응시해 89명이 최종 합격하였으며, 전체 합격률은 약 6%로 치열한 경쟁을 보였다. 그 가운데 신환 학생은 전산개발 직렬 수석 합격이라는 탁월한 성과를 거두었다. 신환 학생은 “대학에서 배운 전공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시험을 준비했다”며 “혼자 공부하며 마음을 다잡는것이 쉽지 않았지만, 곽수하 교수님의 따뜻한 조언과 격려로 단기간에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라며 교수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서는 “세계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전환(DX)의 흐름 속에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이공계 출신 공무원으로서 과학기술 분야에서 국가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을 고민하고 실현하는 데 앞장서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2025.06.09 204 -
2025학년도 1학기 과제연구 발표회 성료… 우수작 포스터 발표 및 시상
2025학년도 1학기 과제연구 발표회 성료… 우수작 포스터 발표 및 시상 2025학년도 1학기 과제연구 발표회가 5월 30일(금) 12시부터 공학2동 1층 튜링홀에서 1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과제연구Ⅰ·Ⅱ(CSED499)는 주로 학부 4학년을 대상으로 개설되는 교과목으로, 학생들은 매 학기 말 자신이 수행한 연구 내용을 발표하고 평가받는 시간을 갖는다. 올해부터는 우수 과제를 사전에 선별해 상위 30% 이내 과제에 한해 포스터 발표 형식으로 진행됐다. 선정된 발표자 24명(과제연구Ⅰ 16명, 과제연구Ⅱ 8명)은 공학2동 1층 튜링홀에서 포스터 전시 및 데모 시연을 진행했다. 발표는 준비된 다과(식사)와 함께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참석한 교수들과 대학원 실험실 대표들이 개별 포스터를 평가해 최우수상 1명, 우수상 1명을 선정했다. 또한, 현장에서 가장 많은 스티커를 받은 학생에게는 인기상이 수여됐다. 시상식은 6월 4일(수) 교수휴게실에서 열렸으며, ▲최우수상은 권예호(22학번), ▲우수상은 강현모(20학번), ▲인기상은 제태호(20학번) 학생이 각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관련 사진 더보기(클릭)]
2025.06.09 111 -
2025 프로그래밍 경진대회(PPC) 성료
2025 프로그래밍 경진대회(PPC) 성료 포스텍 프로그래밍 경진대회(PPC)가 5월 17일(토) 오후 1시부터 4시간 동안 박태준학술정보관 506호에서 열렸다. PPC는 1999년부터 이어져 온 포스텍의 전통 있는 행사로, ICPC 지역 본선을 대비하는 취지로 매년 개최된다. 수상자에게는 ICPC 본선 출전 시 지원금도 제공된다. 이번 대회에는 포스텍 재학생 14팀(총 42명)이 참가해, 최우수상(1팀), 우수상(1팀), 장려상(2팀), 신인상(2팀), 특별상(2팀)을 두고 실력을 겨뤘다. 작년에 이어 문제를 해결한 팀에게는 형형색색의 풍선이 주어지는 이벤트도 함께 진행돼 현장 분위기를 더욱 뜨겁게 만들었다. 2025 포스텍 프로그래밍 경진대회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행사 사진 더보기(클릭) - 2025 PPC 수상자 - 구분 팀명 성명 1등(최우수상) 장난을잘치는홍성현군 최영준(무은재), 전준우(무은재), 홍성현(무은재) 2등(우수상) 트랄랄레로 트랄랄라 이우진(무은재), 박찬솔(무은재), 김태용(무은재) 3등(장려상) Localhost 문준호(무은재), 김재윤(무은재), 강신오(무은재) 3등(장려상) CarFactory 차선호(컴공), 장기정(컴공), 공현성(무은재) 신인상 트레비 박현민(무은재), 김정원(무은재), 김규현(무은재) 신인상 앙기멘 장민호(무은재), 김민석(반도체), 박주영(무은재) 특별상 SDD 김도영(컴공), 권두홍(컴공), 김순호(컴공) 특별상 데구애쁠 신지우(무은재), 김건호(무은재), 최다현(무은재) *PPC란, ‘POSTECH Programming Contest’의 약자임.
2025.05.23 633 -
HIS 연구실 & ML 연구실, 세계 최고 권위 HCI 학회 ‘ACM CHI 2025’서 수상
HIS 연구실 & ML 연구실, 세계 최고 권위 HCI 학회 ‘ACM CHI 2025’서 수상 HIS (Human-centered Intelligent Systems) 연구실의 주효진(통합’23), 이정은(통합’21), 양승원(통합’23, 이상 지도교수 황인석) 대학원생이 5월 1일(목) 일본 요코하마에서 개최된 세계 최고 권위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학술대회 ‘ACM CHI 2025’에서 Interactivity 트랙 Popular Choice Honorable Mention을 수상했다. 수상작은 본 학회의 정규 논문으로 출판된 “Toward Affective Empathy via Personalized Analogy Generation: A Case Study on Microaggression” 논문에 대한 실제 시스템 시연으로서, 참가자들의 실시간 투표를 통해 가장 높은 호응을 얻은 데모 중 하나로 선정됐다. 이는 전체 74편의 출품작 중 약 5%만이 수상하는 영예로, 기술의 실질적 적용 가능성과 개념적 참신성 측면에서 높이 평가됐다. 특히 해당 연구는 컴퓨터공학, 인공지능,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제적 융합을 기반으로, AI 기반 공감 보조 기술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는 점에서 높은 주목을 받았다. 현장에서는 구글 딥마인드(DeepMind) 등 글로벌 선도 기업 관계자들로부터 해당 기술의 사회적 파급력과 실용성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도 이어졌다. 한편, 이번 연구는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HIS 연구실 황인석 교수팀과 ML 연구실 옥정슬 교수의 공동 연구로 진행됐다.
2025.05.22 480 -
이민재 대학원생, IPIU 2025 우수포스터발표상 수상
이민재 대학원생, IPIU 2025 우수포스터발표상 수상 이민재 대학원생(통합 23, 지도교수 김원화)이 ‘제37회 영상처리 및 이해에 관한 워크샵(IPIU 2025)’에서 우수포스터발표상을 받았다. 이번에 수상한 논문은 “Gradient 흐름을 통한 프롬프트 개선 기법(ReGRAF: Training-free Prompt Refinement via Gradient Flow for Segmentation)”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분야의 대표적인 foundation model인 Segment Anything Model(SAM)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SAM의 세그멘테이션결과의 품질이 입력 프롬프트(점, 박스 등)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SAM의 출력값(output)을 기반으로 gradient 흐름을 계산하고 이를 통해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보정함으로써 더 정확한 세그멘테이션 마스크(segmentation mask)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과정은 별도의 추가 학습 없이 수행되며, 향후 다양한 세그멘테이션 연구에서 프롬프트를 사용하는 다른 인공지능 모델에도 직접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높은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컴퓨터공학과 이민재 대학원생(통합 ’23)과 인공지능대학원 허성우 대학원생(박사 ’23)이 공동 1저자, 인공지능대학원 황수진 학생이 제2저자, 김원화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2025.04.22 456 -
Global Leadership Program(GLP) 장학증서 전달(25-1학기)
Global Leadership Program(GLP) 장학증서 전달(25-1학기) 2025-1학기 Global Leadership Program(이하 GLP) 장학증서와 장학금 전달식이 4월 7일(월) 교수회의에서 진행됐다. 4학기부터 5학기 대상 GLP 수상자는 4명(이윤규·엄준하·김남규·김홍근)이며, 학기당 300만 원의 장학금을 지원받게 된다. 6학기 이상 GLP 수상자는 1명(김순호)으로 연구 지도교수의 실험실로 배정되어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며, 교수 연구비로 연간 최대 800만 원까지 지원받아 연구를 진행한다. 최승문 주임교수가 해당 학생에게 직접 장학증서와 장학금을 수여했다. GLP 프로그램은 우수한 무은재생을 우리학과에 유치하여 우수한 교수진 아래서 최적화된 교과과정으로 교육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학과 자체예산으로 지원하고 있다. GLP 장학생은 신청자 중 학부위원회 심의를 거쳐 학기당 15명 내외를 선정하며, 2016년부터 연간 30명 내외 장학생을 선발하였다. 이 장학금은 해외 단기유학, 국내외 학술대회 참가 등 학업과 연구에 필요한 경비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학기당 300~800만 원의 형태로 지원한다.
2025.04.21 463 -
2025년 ‘방승양 Graduate Fellowship’ 시상
2025년 ‘방승양 Graduate Fellowship’ 시상 ‘방승양 Graduate Fellowship’ 장학증서와 장학금 전달식이 4월 7일(월) 학과 교수회의에서 진행됐다. 정재우(석사과정, 지도교수 박상돈), 황윤하(석사과정, 지도교수 이승용) 학생이 2024-25학년도 ‘방승양 Graduate Fellowship’ 장학생으로 선정됐다. 장학생은 학과 대학원위원회 심의를 거쳐 선정하였으며, 시상은 학과 교수회의에서 최승문 주임교수가 직접 장학증서와 장학금 150만 원씩을 각각 수여하였다. 방승양 명예교수는 지난 2018년 12월에 컴퓨터공학 분야를 선도할 우수한 인재양성을 위한 장학금으로 5천만 원을 기부하여 ‘방승양 기금’을 조성하였다. ▶ 관련기사 바로가기 방승양 명예교수는 1986년 8월 POSTECH에 부임하여 전자계산학과 초대 주임교수로 봉사하며 교수초빙, 교육 및 연구실험실 조성 등 학과조직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2007년 정년퇴임까지 학생 교육과 Neurocomputing, Character Recognition 분야의 연구에 매진하며 대학발전을 위해 헌신하였고 이러한 공로로 2007년 명예교수에 추대되었다.
2025.04.16 596 -
오은진·백승환 교수, ‘2025 CSE Awards’ 수상
오은진·백승환 교수, ‘2025 CSE Awards’ 수상 4월 7일(월) 컴퓨터공학과 교수회의에서 ‘2025 CSE Awards’ 시상식이 진행됐다. 오은진 교수는 학과 발전을 우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교육 활동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아 ‘CSE Award’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백승환 교수는 탁월한 연구성과로 학과의 연구역량과 위상을 높인 점을 인정받아 ‘CSE Young Scholar’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수상자에게는 각각 상패와 상금 3백만원이 수여됐다. CSE Awards(우수교원 포상제도)는 학과 발전에 기여한 교원을 격려하고, 우수한 젊은 교원의 사기 진작을 위해 2019년 4월 도입되었으며, ▲2020년 배경민•곽수하 교수(1회 수상자), ▲2021년 김광선•조성현 교수, ▲2022년 조민수•박재식 교수, ▲2023년 김동우•옥정슬 교수, 그리고 ▲2024년 황인석•박은혁 교수가 수상한 바 있다.
2025.04.14 616